[은평점 l 유산후보약] 2025-02-28 09:42:10 | 조회수 : 39
유산후보약 먹어도 되나요?
본문
마포 30대초반/여 유산후보약
언니가 유산이 되었는데 몸이 좀 안좋은거 같아서
약해진데 좀 기력보충하고 기운좀 나라고 보약같은거 지어주고 싶거든요
유산후보약 먹어도 되는건지 궁금해요.
답변
안녕하세요, 은평점 김지예 원장 입니다.
유산후에는 보약치료가 꼭 필요합니다.
출산후 조리보다, 유산후 조리가 더 중요합니다.
유산후조리 순서는 어혈을 풀어주는 치료를 먼저하고 보약을 씁니다.
어혈치료를 하지 않고 보약을 쓰면 어혈이 더 정체되게 때문인데요.
생리통이 없다가도 유산,출산후 생리통이 더 심해지시는 경우들이 그런 경우입니다.
어혈치료로 오로배출, 자궁수축을 돕고, 보약으로 기력회복, 자궁회복을 돕습니다.
유산후에는 생리불순이나 산후풍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유산후에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.
유산후 첫 생리를 할 때까지는 약을 써 줘야해서 보통 40일정도 치료를 하게됩니다.
어혈치료는 산후조리는 10-15일정도 하게 되지만,
유산후조리는 자궁이 그렇게 커진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5일 정도만 해주어도 됩니다.
평소 근종 ,내막증 등으로 어혈증상이 심하셨다면 좀 더 필요할 수 있습니다.
보약치료는 기력을 보하고 자궁회복을 도와 생리불순, 산후풍이 생기지 않게 하고,
생리불순, 산후풍이 이미 생긴 경우라면, 생리불순, 산후풍 치료는 최소 3개월의 치료가 필요합니다.
또, 유산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것이지만, 만 35세이상은 유산율이 3,4배 높아지고,
한번 유산할 때마다 유산율이 높아져서 유산횟수가 많거나, 나이가 많거나 해서,
유산 가능성이 많이 높아진 경우라면 다음 임신 때 유산이 되지 않도록
유산이 된 원인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.
만 35세 이상이 되면 생식능력이 약해져서
배란이 되어도 난자가 약해서 수정후에도 잘 발달되지 못하고
계류유산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
생식능력을 튼튼하게 해서
더 건강한 난자가 나올 수 있게 해 주어야 하고,
기력이 약하다면, 임신유지가 잘 될수 있게 기력을 보해야 합니다.
엄마가 튼튼하지만 순환이 잘되지 않아서
아기에게 전달이 잘 되지 않는 경우라면 순환을 도와서
유산의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해서 다음 임신에는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치료가 필요합니다.
국민행복카드는 임신출산관련한 진료비지원제도로,
임신 1회당 100만원, 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140만원 지원비용이 지급됩니다.
국민행복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일로부터(출산, 유산진단) 2년까지 사용가능합니다.
병원뿐 아니라 한의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, 임신 출산과 관련된 침 뜸 부항치료외에도
출산후나 유산후 몸조리를 위한 한약, 보약을 복용하시는데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
사용방법은 해당카드를 지참하시어 한의원 진료후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시면 됩니다.
모쪼록 빠른 시일내에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어 유산후조리를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이전글 ![]() |
자궁선근증한의원 치료 |
---|---|
다음글 ![]() |
만성질염 치료할 수 있나요? |